
자궁근종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23년 통계에 따르면 국내 자궁근종 환자 수는 약 60만 명을 넘어섰으며, 5년 전보다 61% 증가했다. 특히 35세 이상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40~50대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기경도 민트병원 여성의학센터장 원장(산부인과 전문의)은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예고 없이 찾아오는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말한다.
그는 “자궁의 평활근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생명에 큰 위협을 주지는 않지만, 치료 없이 방치하면 크기가 커지면서 방광이나 직장에 유착될 가능성이 있어 조기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자궁근종은 증상이 없을 경우 바로 수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생리과다, 생리통, 골반통, 빈혈, 빈뇨, 부정출혈 등이 나타난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졌다.
기경도 센터장에 따르면 주요 증상으로는 생리과다, 생리통, 골반통, 빈혈, 빈뇨, 부정출혈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자궁근종이 있다는 신호로 간주된다.
기 센터장은 자궁근종 치료 방법으로 대표적인 근종 절제술을 꼽는다. 그는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자궁적출술 대신 자궁에 생긴 혹만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여성의 가임력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에는 개복 수술을 통해 근종을 제거했지만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 선호되고 있다"며 "배꼽 부위를 통해 복강경 장비를 삽입하여 시술하는 방식으로, 절개 부위가 작고 회복이 빠르다는 점에서 많은 환자들이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로봇수술을 활용한 자궁근종 치료 또한 주목받고 있다. 로봇수술은 의료진이 콘솔에서 3차원 영상을 보며 로봇 팔과 카메라를 조종하는 방식이다. 고해상도 영상과 정밀한 움직임을 통해 병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경도 센터장은 "로봇수술의 가장 큰 장점은 의료진의 손 떨림을 최소화하고 주변 근육이나 혈관, 신경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봇수술은 일반 복강경보다 피부 절개 범위가 작아 출혈과 통증이 적고, 염증이나 유착 등의 부작용도 적다. 다만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고난도 수술이 필요한 경우나 임신 계획이 있는 환자에게 권장되는 수술 방법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경도 센터장이 말하는 자궁근종 관리 TIP
◆ 정기검진
단순한 초음파 검사뿐만 아니라 MRI 등 정밀 검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호르몬 균형을 위한 영양 섭취
가공식품, 설탕, 카페인 등의 과다 섭취는 에스트로겐 농도 증가로 자궁근종을 키울 수 있다. 채소, 생선, 석류 등 항에스트로겐 식품의 꾸준한 섭취 필수.
◆ 고강도 운동보다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
스트레스를 줄이고 체지방을 조절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빠르게 걷기, 요가, 필라테스 등)이 자궁 건강에 유리. 심한 다이어트로 체지방이 급감하면 여성호르몬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
◆ 자궁근종 크기별 맞춤 관리
2cm 이하: 정기 검진을 통해 관찰하며 생활습관 개선을 신경 써야.
3~5cm: 증상이 없더라도 성장 속도를 체크하고, 생활 습관 관리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
5cm 이상: 치료를 고려해야 하며, 필요 시 호르몬 치료나 비수술적 치료(하이푸, 색전술)도 가능.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