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월드

검색

설탕‧지방 ‘제로’가 대세… “살찌기 싫지만 단맛 폭풍 흡입 못 멈춰”

입력 : 2024-06-12 09:33:33 수정 : 2024-06-12 10:57:57

인쇄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대한민국이 ‘제로’에 푹 빠졌다. 다이어터들은 더 이상 ‘단맛’을 참지 않고 부모들은 아이의 간식으로 각종 제로 가공식품을 택하고 있다. ‘설탕’이 빠진 자리에 각종 ‘인공감미료’가 자리잡은 시대. 이대로 괜찮을까?

 

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 식이영양위원회 위원장 김우준 원장(가정의학과 전문의)'의 도움말로 ‘제로’ 열풍의 주인공인 ‘인공감미료’의 이모저모에 대해 알아봤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2022년 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과 20대 여성 등 일부 집단에서만 WHO 권고기준을 넘기고 있었을뿐, 국민 평균 당류 섭취량은 2018년 36.4g에서 2022년 34.6g으로 소폭 줄었다.

 

국민들의 음료 섭취량은 5년 전과 비교해 약 30% 증가했는 데도 말이다. 음료의 주재료는 ‘설탕’이다. 음료를 찾는 비율이 크게 늘었는데 어떻게 당 섭취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을까?

답은 ‘인공감미료’에 있다. 인공감미료는 설탕보다 수백 배 강한 단맛을 내며, 소량으로도 충분한 단맛을 제공해 열량이 거의 없다. 반면 설탕 섭취가 과다하면 허벅지, 복부, 팔뚝, 얼굴 등으로 지방이 몰릴 수밖에 없다.

 

김 위원장은 "팬데믹 이후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설탕 섭취를 줄이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확산됐고, 식품 산업에서 인공감미료를 사용한 다양한 저칼로리 제품을 출시해 소비자들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로 단맛을 즐기게 된 비율이 늘어났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국민의 탄산수와 제로 탄산음료 하루 섭취량은 2018년 0.8g에서 2022년 12.2g으로 15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유통 리테일은 올해 1월~4월 동안 편의점에서 판매된 전체 탄산 음료 중 제로 음료의 구성비는 52.3%를 차지했다고 밝혔을 정도다.

 

제로 가공식품 우리 몸에는 어떨까? 김 위원장에 따르면 제로 가공식품은 체중 및 혈당 관리에 일정 부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은 “탄산음료를 제로 탄산음료로 바꾸면 열량 섭취를 줄일 수 있으며, 꾸준히 지속하면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모든 것은 적당해야 한다. 칼로리는 무시 가능할지언정 인공감미료의 단맛은 분명 미각을 자극한다. 김 위원장도 “제로 음료는 결코 물의 대체재가 될 수 없다”고 경고한다.

 

그는 "인공감미료가 장내 미생물에 나쁜 영항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는 만큼 당 섭취의 대안으로 인공 감미료는 좋은 선택이지만, '제로'라는 상호를 붙인 다양한 제품 중에는 열량이 낮지 않은 제품도 있으므로 선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단맛에 익숙해지면 자극적인 단맛을 계속 찾게 되고, 섭취량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섭취하지 않는 편이 좋다”며 “다이어트 중 식단 관리가 어렵다면 의료기관을 찾아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등 전문가와 함께 관리에 나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