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월드

검색

<추석 건강> 벌초‧산행서 호발하는 안전사고… 뱀 물림‧벌 쏘임‧예초기 절단

입력 : 2023-09-28 18:34:59 수정 : 2023-09-28 18:34:58

인쇄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추석 벌초와 성묘, 등산, 노지 캠핑 등을 위해 산을 찾는 이들이 많다. 이맘때가 되면 뱀에 물리고 벌에 쏘이고, 벌초 작업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등으로 인해 병원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급증한다.

 

특히 올 여름은 예년보다 예기치 못한 곳에서 뱀 출몰이 많았던 만큼 산에 갈 때는 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양희범 의정부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로부터 가을철 야외활동 중 해를 입었을 때 올바른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들어봤다.

 

◆뱀물림, 뱀독 퍼지지 않으려 꽉 묶으면 괴사 위험

 

먼저 뱀에 물렸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뱀이 독사인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독사는 머리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머리가 화살촉처럼 삼각형이고 눈동자는 아래위로 긴 수직 형태이며, 몸통은 표범처럼 얼룩덜룩한 무늬에 적갈색 또는 초록색을 띠고 있다.

 

만일 뱀의 생김새를 관찰하지 못했다면 물린 부위에 2개의 이빨 자국이 있거나 피부 변색과 부종, 수포가 나타난다면 독사에게 물린 것으로 봐야 한다.

 

뱀에 물리면 대개 알고 있는 응급처치 방법은 독이 전신에 퍼지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 끈이나 수건, 등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 것부터 떠올린다.

 

양 교수에 따르면 실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독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겠다는 강한 의지로 상처 위와 아래 부위를 풀기 어려울 정도로 겹겹이 꽉 묶거나 심지어는 케이블타이 또는 가는 철사로 칭칭 감아서 오는 경우도 있다.

 

양희범 교수는 하지만 너무 꽉 묶는 것은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그는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을 경우 오히려 혈액 순환을 방해해 심한 부종이 생길 수 있고, 압력이 강한 가는 철사나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할 경우 혈액의 흐름을 막아 상처 아랫부위가 괴사될 수도 있어 초기 응급처치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뱀물림 시 바른 대처법: 물린 부위의 5~10㎝ 윗부분을 끈이나 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있게 묶자. 이후 심장보다 낮게 물린 부위를 유지한다. 절대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절단 부위, 얼음에 싸면 접합수술 어려워

 

요즘은 예전과 달리 꼭 벌초가 아니더라도 조경관리 목적으로 예초기를 많이 사용하다보니 안전한 제품들이 많이 나왔지만, 그래도 날카로운 톱날을 사용하는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같다.

 

예초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사고는 작업 도중 톱날이 돌에 부딪혀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이 다치게 되며, 때로는 절단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사고가 발생하면 먼저 적당한 힘으로 지혈을 한 뒤 절단된 부위를 물로 씻은 다음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싸서 병원을 빨리 찾아야 한다.

 

양희범 교수는 “절단된 부위를 얼음과 함께 넣어 오는 경우에는 조직 세포에 문제가 생겨 접합수술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얼음에 싸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절단 사고시 올바른 처치법: 지혈 후, 절단 부위를 물에 씻은 뒤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싸서 응급실을 찾는다.

 

◆벌에 쏘이면 과민성 쇼크 주의, 무조건 병원 찾아야

 

가을철에는 으레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가족, 친지들과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위해 산을 찾는다. 이때 반드시 조심해야 할 것이 벌 쏘임과 예초기 사용이다.

 

벌초 과정에서 미처 벌집을 보지 못하고 건드리는 경우 순식간에 벌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게 된다. 벌에 쏘였을 때 증상은 벌의 종류와 쏘인 횟수 그리고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보통 말벌이 아닌 일반 벌은 쏘인 부위에 통증, 붓기, 가려움 등의 반응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1~2일이면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중요한 것은 알레르기 반응이다. 벌독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일반 벌에 쏘이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고 두드러기나 설사가 생기거나 호흡곤란이나 혀와 목의 붓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아나필락시스 쇼크라고 하며,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심한 경우 1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양희범 교수는 “평소에 벌독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벌에 쏘였다면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과민성 쇼크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꼭 병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